
AI수업에서 평가 진행 방법
1.강좌 소개
AI 수업을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평가(지필평가/수행평가)를 어떻게 진행할 것인지 같이 생각을 나누는 연수입니다.
특히, 중학교 정보 교육에서는 평가로 시작하여 평가로 끝나기 때문에, 이를 AI교육에 어떻게 녹여내고, 내실있게 수업을 설계하여 수행평가로 이어질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연구회에서 제작한 AI 평가 자료를 아낌없이 공유하고자 합니다.
특히, 중학교 정보 교육에서는 평가로 시작하여 평가로 끝나기 때문에, 이를 AI교육에 어떻게 녹여내고, 내실있게 수업을 설계하여 수행평가로 이어질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연구회에서 제작한 AI 평가 자료를 아낌없이 공유하고자 합니다.
2.강좌 목표
- AI 수업을 위해 평가 자료를 제작하고 이를 수업에 활용할 수 있다.
- 루브릭을 개발하여 AI 수업에 활용할 수 있다.
- 2학기 수업에 대한 불안감을 없애고, AI 수업을 내실있게 설계할 수 있다.
- 루브릭을 개발하여 AI 수업에 활용할 수 있다.
- 2학기 수업에 대한 불안감을 없애고, AI 수업을 내실있게 설계할 수 있다.
학습 목차
차시 | 차시명 | 차시 내용 |
---|---|---|
1 차시 (2022-11-15 18:30 ~ 2022-11-15 19:20) | 초중고에서 AI 수업 | ❍ 초중고에서 AI수업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보고 연계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강의 ❍ 초중고에서 AI수업의 공통점과 차이점 ❍ 궁극적인 AI수업의 지향점 |
2 차시 (2022-11-15 19:30 ~ 2022-11-15 20:20) | AI 평가를 위한 루브릭 설계 | ❍ AI 수업을 진행하면서 평가를 진행하기 전에 교육과정에 따른 루브릭을 설계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강의 ❍ 인공지능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수준/성취기준 |
3 차시 (2022-11-15 20:30 ~ 2022-11-15 21:20) | AI 평가를 위한 학습지 제작 및 활용 | ❍ 실제 학교 수업에서 평가에 대한 사례 발표 ❍ AI 수업을 위한 학습지를 같이 제작해보고 활용 방법 논의 |
전체선택 > AI(SW)교육
중등
지식샘
-
김지연
한가람중학교 -
김자연
대전삼천중학교 -
정재웅
대전동화중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