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활용이 익숙하지 않은 선생님들을 위해 연수를 개설하였습니다. 교육용 소프트웨어로 미술(퀵드로우, 구글아트앤컬쳐, quiver vision)과 사회(멘토미터,아키네이터,띵커벨) 시간에 활용된 사례를 중점으로 직접 사용해보고 시간을 가져 온라인 수업이나 교과 수업 활동을 더욱 다양하게 준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에 목적을 두겠습니다.
★ 이야기로 여는 AI/SW 융합 교육! 노벨엔지니어링과 함께라면 학생들이 행복하고 교사도 즐거운 STEAM 융합수업이 가능합니다! ★ 감정이해교육 연계 수업! 엔트리 [비디오 감지 블록]으로 얼굴인식, 감정인식 실습 ★ 바른언어사용교육과 연계 수업! 엔트리 [텍스트 분류] 모델 만들기 실습 ★ 문제해결역량 강화! 엔트리 [음성 분류] 모델 만들기 실습 ★ 엔트리 AI 블록을 함께 프로그래밍 하며 수업에 바로 적용 가능한 노벨지니어링 아이디어를 제공합니다.
❍노벨 엔지니어링은 온책읽기와 SW 교육(공학)을 융합하여 진행하는 미래 수업 모델입니다. 노벨 엔지니어링을 교실에서 바로 실천해 볼 수 있도록 다양한 수업 사례를 소개해드립니다.
❍ STEAM 수업의 실제적 꿀팁을 대방출합니다!
데이터 과학, 어렵지 않아요! 초, 중등학생을 위해 쉽고 재미있게 체험과 이론을 함께 경험할 수 있도록 데이터 과학 교육을 기획하였습니다. 인공지능 교육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데이터 과학도 주목을 받고 있는 지금, 학교 현장에서 데이터 과학 교육을 시작할 수 있도록 관련 개념과 교육 방안을 안내드리고자 합니다.
노벨 엔지니어링은 독서와 공학이 융합된 모델로서, 학생들이 책을 읽고 책 속 문제점을 파악하여 그 해결책을 스스로 제시, 설계한 뒤 이야기를 다시 써보는 수업 모델입니다. 공학적 도구로 엔트리 인공지능 블록 및 모델을 실습하여 학생들의 문제해결력을 길러주는 수업을 소개합니다.
AI의 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정보 과목을 담당하고 있는 교원의 AI 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이러한 시점에서 정보 교사들이 AI 수업에서 당장 바로 쓸 수 있고, 공통적으로 수업시간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 자료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 강의를 듣고 기초부터 심화까지 AI수업을 할 수 있는 교원이 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SW·AI 개발, 어렵다고 생각하시나요? 누구나 개발자가 될 수 있습니다. 수많은 연구대회 가운데 교육 정보화 연구대회 SW 분과의 가장 큰 매력은 교사가 직접 교육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하는 데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난 교육 정보화 연구대회 SW·AI 분과 소개와 우수작 사례 분석, 지난 대회를 준비하며 궁금했던 점 등을 함께 나누며 교육 정보화 연구대회를 준비하시는 선생님들께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또한, 많은 저작도구 가운데 앱 인벤터를 활용하여 인공지능 교육 및 SW 개발에 도전해보고 싶으신 선생님, 학생들의 수업(5,6학년 실과, 자율동아리, 영재 수업 등)에 적용해보고 싶은 선생님들께 추천해드리고 싶습니다.